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브릭스(BRICS) 국가의 부상과 국제 질서 변화: 글로벌 경제 블록의 재편 가능성

by 예겨미 2025. 3. 17.

 

 

최근 몇 년간 브릭스(BRICS) 국가들이 글로벌 경제와 국제 질서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브릭스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으로 구성된 신흥 경제 블록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40%, 세계 경제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브릭스 국가의 경제 성장과 정치적 영향력 강화는 미국과 서방 중심의 기존 국제 질서를 재편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본 글에서는 브릭스의 부상 배경, 주요 전략, 그리고 글로벌 경제 질서 변화 가능성을 살펴본다.

1. 브릭스의 형성 배경과 성장 과정

브릭스는 2001년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짐 오닐(Jim O'Neill)이 처음 언급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오닐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이 향후 세계 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며 ‘BRIC’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후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합류하면서 BRIC에서 BRICS로 확장되었다.

  • 브라질: 풍부한 천연자원과 농업 생산력을 기반으로 성장
  • 러시아: 에너지 및 군사 강국으로서의 지위 확보
  • 인도: IT 산업 및 인구 성장으로 높은 성장률 기록
  • 중국: 세계 제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무역에서 핵심 역할 수행
  •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프리카 대륙의 관문으로 자원 기반 경제 성장

브릭스는 2009년 첫 정상회담을 개최한 이후 매년 정상회담을 통해 협력을 강화해 왔다. 특히 2015년에는 브릭스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 NDB)을 설립하여 회원국의 인프라 개발 및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2. 브릭스 국가의 주요 전략

① 비달러화 및 대안 통화 구축

브릭스 국가들은 미국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 질서에서 벗어나기 위해 대안 통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위안화가 국제 거래에서 점차 사용되기 시작했고, 브릭스 신개발은행은 회원국 간 무역에서 자국 통화 결제를 촉진하고 있다.

  • 위안화 국제화: 중국은 위안화를 기축 통화로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금융 개혁 추진
  • 러시아의 탈달러화: 서방의 제재에 대응해 달러 기반 거래 축소 시도
  • 브릭스 통화 바스켓 제안: 브릭스 국가들은 통화 바스켓을 도입해 외환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려는 전략 모색

② 신흥 경제권 내 무역 및 투자 확대

브릭스 국가들은 상호 무역과 투자를 확대하며 경제적 자립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일대일로(一带一路) 프로젝트를 통해 인프라 건설 및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도와 러시아는 군사 및 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③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영향력 강화

브릭스는 기존의 미국 중심 국제 질서에서 독립적인 목소리를 내기 위해 유엔(UN), 세계무역기구(WTO) 등에서 공동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또한 신흥 시장의 대표자로서 개발도상국의 이익을 대변하며 국제 금융 구조 개혁을 주장하고 있다.

3. 브릭스의 부상이 국제 질서에 미치는 영향

① 미국 주도의 패권 질서 약화

브릭스 국가들은 미국의 금융 및 군사 패권에 도전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해 러시아는 중국 및 인도와의 무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달러 중심의 무역 질서를 흔들고 있다.

② 다극화된 경제 블록 형성

브릭스는 미국과 서방 중심의 G7에 대항하는 대안 경제 블록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브릭스 신개발은행은 세계은행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대안 기구로 기능하며 개발도상국에 자금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브릭스의 부상은 글로벌 경제 질서를 단극 구조에서 다극 구조로 전환시키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 — 세계경제포럼(WEF) 보고서

③ 지정학적 불안정성 증대

브릭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미국 및 서방과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미국의 무역 갈등, 러시아와 서방의 군사 대립 등은 글로벌 경제 및 안보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4. 향후 전망과 과제

  • 브릭스는 신흥 시장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 위안화, 루블화 등 대안 통화의 사용 확대 가능성
  • 미국 및 서방과의 정치적 갈등 심화 우려

5. 결론

브릭스 국가의 부상은 글로벌 경제 및 국제 질서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미국 중심의 단극 체제에서 다극 체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브릭스는 이를 주도하는 핵심 세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향후 브릭스의 영향력이 강화될수록 기존의 서방 주도 질서와의 마찰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국제 사회는 브릭스의 부상에 대비해 보다 유연하고 다각적인 외교 및 경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