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도-태평양 전략의 배경과 핵심 목표
1) 인도-태평양 전략의 개념과 등장 배경
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은 미국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동맹국들과 협력하여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제 질서를 유지하려는 외교·안보 정책이다.
이 전략은 2017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식적으로 개념화되었으며, 2021년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를 더욱 강화하여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은 글로벌 GDP의 약 60%를 차지하는 경제적 중심지이며, 세계 무역의 60% 이상이 이 지역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중국의 해양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으로, 대만 해협·남중국해·한반도 등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포함된다.
2)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목표
- 중국의 군사적 팽창 견제 – 남중국해·대만 해협·인도양에서의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한 군사적 조치
- 동맹 및 파트너 국가와의 협력 강화 – 일본·한국·호주·인도 등과의 군사·경제 협력 확대
- 경제·기술·공급망 안보 확보 – 반도체·희토류 등 첨단 기술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 감소
- 자유롭고 개방된 해양 질서 유지 – 국제법에 기반한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 보장
2. 미국의 중국 견제 전략
1) 군사적 대응: 인도-태평양 군사 동맹 강화
미국은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막기 위해 다자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① 쿼드(QUAD) – 미국, 일본, 인도, 호주 간 협력
쿼드(Quad, 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경제 협력을 위한 4개국 협의체이다.
이 협력체는 해양 안보, 군사 훈련, 기술 협력을 통해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다. 최근 반도체 공급망,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AI) 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② 오커스(AUKUS) – 미국, 영국, 호주의 군사 동맹
2021년 결성된 오커스(AUKUS)는 호주의 핵잠수함 개발을 지원하는 군사 동맹으로, 중국의 해양 확장을 견제하고 태평양 지역에서 군사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③ 일본·한국·필리핀과의 안보 협력 강화
미국은 일본, 한국과의 동맹을 강화하며 북한 위협과 중국 견제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필리핀과의 군사 협력을 확대해 남중국해에서의 방위력을 높이고 있다.
2) 경제적 대응: 공급망 재편과 기술 경쟁
①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IPEF는 2022년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시킨 경제 협력체로, 중국을 배제한 경제 블록 형성을 목표로 한다.
참여국에는 미국, 일본, 한국, 인도, 호주, 베트남, 싱가포르 등 14개국이 포함되며, 무역 협력, 공급망 안정화, 청정에너지 협력을 주요 의제로 다룬다.
② 반도체 및 첨단 기술 견제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압박하기 위해 ‘반도체 동맹(Chip 4)’(미국, 한국, 일본, 대만)을 추진하며, 2022년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통해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기업들이 첨단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차단하려 하고 있다.
3. 향후 전망: 인도-태평양 전략의 미래
1) 미중 갈등의 장기화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대만 해협, 남중국해,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 동남아 국가들의 중립 전략
ASEAN 국가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하며, 경제 협력과 안보 협력을 신중하게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3) 경제·기술 경쟁 심화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경쟁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면서 ‘기술 블록화’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중국의 군사적·경제적 팽창을 견제하고 동맹국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맞서 중국은 일대일로 프로젝트, 군사력 증강,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
미중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군사적·경제적 긴장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향후 국제 질서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더욱 복잡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며, 각국의 외교 전략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