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

인도-태평양 전략과 미국의 중국 견제 1. 인도-태평양 전략의 배경과 핵심 목표1) 인도-태평양 전략의 개념과 등장 배경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은 미국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동맹국들과 협력하여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제 질서를 유지하려는 외교·안보 정책이다.이 전략은 2017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식적으로 개념화되었으며, 2021년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를 더욱 강화하여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인도-태평양 지역은 글로벌 GDP의 약 60%를 차지하는 경제적 중심지이며, 세계 무역의 60% 이상이 이 지역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중국의 해양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으로, 대만 해협·남중국해·한반도 등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포함된다.2)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목표중국.. 2025. 3. 15.
에너지 안보: 석유,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의 국제 정치적 의미 1. 석유: 전통적 에너지 패권의핵심1) 석유 공급망과 지정학적 갈등석유는 오랫동안 국제 정치의 중심에 있었으며, 주요 산유국과 소비국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세계 석유 시장은 주로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에 의해 조정되며, 이들의 생산량 조정은 글로벌 원유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등 주요 산유국이 위치한 중동은 지정학적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다. 예를 들어,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립, 예멘 내전, 호르무즈 해협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 등은 국제 유가 변동의 중요한 요인이다.미국과 OPEC 간의 관계:미국은 전통적으로 OPEC과의 관계를 통해 석유 시장을 조율해 왔으나, 최근 OPE.. 2025. 3. 15.